한국인들이 연간 여행에 지출하는 금액이 식료품 지출액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. 콜린슨 인터내셔널(Collinson International)이 '여행 혜택 및 고객 참여 보고서'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한국 여행객의 행동, 인식, 선호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.
자료 제공=콜린슨 인터내셔널?
콜린슨 인터내셔널은 전 세계 공항 라운지 멤버십 프로그램 프라이어리티 패스(Priority Pass) 운영사로 지난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14개국에서 7,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. 그 결과 한국 여행객은 연간 5,553달러(약 811만원)를 여행 예
계좌개설 산으로 책정하며 상당한 금액을 여행에 지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.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평균인 4,763달러(약 696만원)와 일본 4,529달러(약 661만원), 중국 5,014달러(약 732만원) 등 인접 국가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으며, 연간 지출의 약 3분의1을 차지하는 동시에 일상 지출 항목인 식료품과 쇼핑 지출 합계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
현대엘리베이터 주식 다.
또한 연 평균 5회의 항공 여행을 경험하는 한국 소비자는 더 많은 여행 경험뿐만 아니라 더욱 향상된 경험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. 한국 응답자는 신용 카드 혜택 중 '공항 라운지 이용 혜택'을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꼽았으며, 이는 '보안 패스트트랙'과 '공항 셔틀 서비스'를 초과하는 수치로 나타났다.
한국 응답자의
실시간양음선생방송 82%는 연회비가 있는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가장 기대할 수 있는 여행 혜택으로 '공항 라운지 이용 혜택'을 꼽았으며, 89%는 현재 사용 중인 카드에서 공항 라운지 혜택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카드로 변경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. 이처럼 공항 라운지 혜택이 소비자의 카드 선택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.
더불어
인터넷야마토 , 소비자의 카드 사용 참여도와 여행 혜택의 상관관계도 확인할 수 있었다. 한국 응답자의 91%는 일상 지출과 여행 경비 결제시 여행 관련 보상 및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더 자주 사용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, 39%는 신용카드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행 혜택을 선택했다. 이는 일상 리워드(39%)와 동일한 비중이며, 카드의 명성(13%)이나 가입
20일선 보너스(9%)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했다. 특히 이러한 경향은 다른 세대에 비해 Z세대(55%)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.
콜린슨 인터내셔널 이안 리(Ian Lee) 아시아 태평양 북아시아 지역 전무는 "금융 서비스 분야에서는 이러한 시장의 성장성을 활용해 공항 라운지 이용, 보안 패스트트랙, 공항 셔틀 서비스, 식사 등 여행 및 공항 관련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가치와 로열티를 강화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"이라고 강조했다.
한편 콜린슨 인터내셔널은 현재 프라이어리티 패스(Priority Pass)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 145개국 725개 공항에서 1,700개 이상의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.